전체 글167 밀의 자유론 - 온라인 커뮤니티,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1. 밀의 자유론, 온라인 커뮤니티의 표현 자유를 조명하다 영국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은 그의 명저 '자유론'에서 표현의 자유를 가장 중요한 기본권 중 하나로 강조했어요. 밀은 '생각과 토론의 자유' 없이는 진리가 발전할 수 없고, 사회가 발전할 수 없다고 보았죠. 아무리 소수의 의견일지라도 억압되어서는 안 되며, 모든 의견이 자유롭게 표출되고 토론될 때 비로소 오류를 바로잡고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이런 밀의 통찰은 오늘날 '온라인 커뮤니티'라는 광대한 공간에서 펼쳐지는 표현의 자유 논쟁과, 그 자유가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아주 큰 도움이 된답니다. 댓글, 게시글, 실시간 채팅 등 온라인에서 쏟아지는 수많은 표현들 속에서 우리는 밀의 자유론을 다시 떠올릴 필요가 있어.. 2025. 6. 28. 붓다의 연기론 - 나의 불행은 팀장님의 지시 때문인가? 붓다의 연기론, 불행의 원인과 관계의 본질을 설명하다 불교 철학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인 연기론(緣起論)은 '모든 현상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발생한다'는 가르침이에요. 어떤 것도 독립적으로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들과의 관계 속에서 생겨나고 사라진다는 의미죠. 붓다는 우리의 괴로움, 즉 불행 역시 이러한 연기적인 관계 속에서 발생하며, 고정된 실체가 없다고 보았어요. 이런 붓다의 연기론은 오늘날 우리가 직장 생활에서 흔히 느끼는 '나의 불행은 팀장님의 지시 때문인가?'라는 질문과 그 속에서 불행의 진짜 원인을 찾고 관계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놀라운 통찰을 제공한답니다. 우리는 종종 팀장님의 지시나 특정 상황을 불행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여기지만, 사실은 훨씬 더 복잡한 관계망 속에.. 2025. 6. 27. 마르쿠제의 억압적 문명 - 월급은 스쳐 갈 뿐, 카드값은 남았네 1. 마르쿠제의 억압적 문명, 현대 소비 사회의 본질을 설명하다 독일의 철학자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그의 비판 이론에서 현대 사회를 '억압적 문명(Repressive Civilization)'으로 규정했어요. 그는 산업 기술의 발전이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대신, 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통제와 억압을 낳았다고 보았죠. 특히, 현대 사회는 '풍요'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의 욕구를 조작하고, 생산과 소비를 끊임없이 부추겨서 시스템에 순응하게 만든다고 주장했어요. 마르쿠제의 이런 통찰은 오늘날 우리가 겪는 '월급은 스쳐 갈 뿐, 카드값은 남는' 현실과, 그 속에서 소비가 어떻게 자유가 아닌 억압의 수단이 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아주 큰 도움이 된답니다. 우리는 더 많이 벌고 더 많이 소비하지만, 어딘가 모르게 늘 허덕.. 2025. 6. 26. 라캉의 거울 단계: 쇼윈도에 비친 나의 명품 가방 1. 라캉의 거울 단계, 쇼윈도에 비친 환상을 설명하다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은 그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거울 단계(Le stade du miroir)를 통해 우리가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했어요. 라캉에 따르면, 유아는 생후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처음으로 거울에 비친 자신의 이미지나 타인의 시선을 통해 자기 몸을 통합된 전체로 인식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이미지는 실제 유아의 분절되고 미숙한 몸과는 다른, 완벽하고 통일된 환상적인 모습이죠. 유아는 이 환상적인 이미지를 '이상적 자아'로 동일시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이미 본래의 '나'와 거울 속 '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요. 이러한 라캉의 거울 단계 개념은 오늘날 '쇼윈도에 비친 명품 가방'을 보며 우리가.. 2025. 6. 25. 베버의 탈주술화 - 인스타 감성 맛집, 마법은 사라지고 사진만 남았네 1. 베버의 탈주술화, 인스타 감성 맛집의 본질을 설명하다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근대 사회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탈주술화(Disenchantment)라는 개념을 제시했어요. 이건 세계가 더 이상 신비롭거나 마법 같은 힘으로 지배되지 않고, 이성과 합리적인 계산, 과학적인 원리에 따라 이해되고 통제되는 과정이라는 뜻이에요. 과거에는 종교나 신화가 삶의 의미와 질서를 부여했지만, 근대 사회에서는 모든 현상이 측정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바뀌면서 세상의 '마법'이 사라졌다고 본 거죠. 이러한 베버의 탈주술화 개념은 오늘날 '인스타 감성 맛집'이 보여주는 현상과 그 속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데 놀라운 통찰을 제공해요. 예쁜 사진을 위해 존재하는 듯한 맛집들에서 우리는 음식.. 2025. 6. 24.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쇼핑몰 알고리즘의 유혹 1.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쇼핑몰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다 스코틀랜드의 도덕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아담 스미스는 그의 대표작 '국부론'에서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이라는 개념을 제시했어요. 이 개념은 개개인이 각자의 이기심을 추구하며 행동할 때, 시장이라는 자율적인 조정 기능에 의해 의도치 않게 사회 전체의 이익이 증진된다는 것을 설명하죠. 즉,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개입하지 않아도 시장은 스스로 효율적인 균형을 찾아간다는 의미예요. 이러한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개념은 오늘날 '쇼핑몰 알고리즘'이 우리를 유혹하고, 때로는 의도치 않게 소비를 부추기는 방식, 그리고 그 속에서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설명하는 데 놀라운 통찰을 제공한답니다. 쇼핑몰 알고.. 2025. 6. 23. 이전 1 2 3 4 5 ··· 28 다음